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정리(본인부담환급금)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라고 하여, 가입자가 과오납 등으로 보험료를 더 납부했거나 병·의원에서 진료 후 낸 본인부담금이 기준을 초과한 경우 그 금액을 돌려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환급금이 발생하면 대상에게 안내문 등이 발송되는데, 주소가 변경되어 못받거나 잊어 버려서 돌려 받지 못하는 경우가 꾸준히 생기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3년의 소멸시효가 있어서 이 기간 내에 찾아가지 않으면 권리가 사라져버리며, 이렇게 되면 나중에는 돌려 받지 못할 수 있어 꼭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인당 평균 환급액이 140만원이라고 하니 혹시 나도 모르게 발생한 환급금이 있지는 않은지, 늦기 전에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Table of Contents

본인부담금 상한제

본인부담금 상한제는 가입자가 연간 부담한 건강보험 본인일부부담금 총액이 보험료 등에 따라 정해진 본인부담상한액을 초과하면 그 초과금액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참고로 동일 요양기관에서 부담하여 초과한 경우에는 공단에서 요양기관에 초과액을 지급하는 사전급여와 상한액 초과 본인부담금을 진료자에게 돌려주는 사후환급으로 나뉩니다.

대상자가 직접 조회하고 환급신청할 수 있는 건 사후환급인데, 온라인을 통해 언제든 간편하게 돌려 받을 금액이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상한액 기준은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여부, 연평균 보험료 분위 등에 따라 상이합니다. 기준 금액은 아래 표를 참조하세요.

연도요양병원
입원일수
1분위
(저소득)
2~3분위4~5분위6~7분위8분위9분위10분위
(고소득)
2022년120일 초과
그 외 경우
128만원
83만원
160만원
103만원
217만원
155만원
289만원360만원443만원598만원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방법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를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해서 할 수도 있지만, 매번 왔다갔다 하는건 번거롭고 불편합니다.

다행히 온라인 조회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어서 PC와 스마트폰만 있다면 인증서 인증을 이용해 손쉽게 환급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진행가능한데, 아래 조회 방법을 참고하여 혹시 놓쳤을지도 모를 내돈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바로가기

Time needed: 3 minutes.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를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해서 할 수도 있지만, 매번 왔다갔다 하는건 번거롭고 불편합니다. 다행히 온라인 조회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어서 PC와 스마트폰만 있다면 인증서 인증을 이용해 손쉽게 환급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진행가능한데, 아래 조회 방법을 참고하여 혹시 놓쳤을지도 모를 내돈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홈페이지 접속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2. 로그인

    민간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중 보유하고 있는 인증서를 이용해 로그인합니다.
    국민건강보험 로그인

  3. 방문자별 맞춤 메뉴

    로그인이 완료되어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면,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서 환급금 조회/신청을 클릭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4. 환급금 확인

    조회가 바로 이뤄져 환급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급금이 있을 시 하단 신청하기 클릭을 통해 본인의 계좌로 입금받으면 됩니다.
    환급금 조회

온라인으로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회해도 위 사진과 같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없을 수 있지만, 혹시 모르니 한번씩 확인해보세요.

참고로 우리 주변에는 자동차 환급금, 국세환급금, 휴면예금 등 잠들어 있는 돈이 있습니다. 보통 조회하는 방법이 간단하니, 생각날 때마다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info@flybemagazi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