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발급 건강진단결과서 인터넷으로 발급하는 방법 총정리

보건증 발급 건강진단결과서 인터넷으로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증은 식품이나 유흥업소 등에 종사하기 위해 기본적인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 하는 서류입니다.

보건증을 발급 받아야 하는 이유는 식품위생법 제 40조에 의거 총리령으로 정하는 영업자 와 종업원은 건강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건증을 발급 받지 않고 해당 업무에 종사하게 되면 과태료가 부과되니 보건증이 필요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분이시라면 반드시 보건증을 발급 받으신 뒤 업무에 종사하셔야 합니다.

Table of Contents

보건증 발급

보건증은 현재 건강진단결과서로 불리고도 있는데요, 보건증의 경우 1년의 효력을 가지고 있어 매년마다 1회씩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발급을 받으시려면 우선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보건소에 방문하여 검사를 먼저 하셔야 합니다. 신분증과 검사 수수료 3,000원을 지참하시고 가까운 보건소나 해당 의료기관에 방문하시면 간단한 검사가 진행됩니다.

검사를 받고 난 뒤 4~5일 정도가 지나면 보건증을 발급 하실 수 있는데요, 가장 일반적인 발급 방법은 검사받은 보건소로 직접 방문하여 보건증을 찾아오는 방법이 있고 또 하나는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 하는 방법 입니다.

여기서는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를 통해서 발급 받으 실 수 있고 발급 방법이 어렵지 않으니 안내해드린 순서대로만 잘 따라하시면 손쉽게 발급 받으 실 수 있습니다.

Time needed: 3 minutes.

보건증은 현재 건강진단결과서로 불리고도 있는데요, 보건증의 경우 1년의 효력을 가지고 있어 매년마다 1회씩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발급을 받으시려면 우선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보건소에 방문하여 검사를 먼저 하셔야 합니다. 신분증과 검사 수수료 3,000원을 지참하시고 가까운 보건소나 해당 의료기관에 방문하시면 간단한 검사가 진행됩니다. 검사를 받고 난 뒤 4~5일 정도가 지나면 보건증을 발급 하실 수 있는데요, 가장 일반적인 발급 방법은 검사받은 보건소로 직접 방문하여 보건증을 찾아오는 방법이 있고 또 하나는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 하는 방법 입니다. 여기서는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를 통해서 발급 받으 실 수 있고 발급 방법이 어렵지 않으니 안내해드린 순서대로만 잘 따라하시면 손쉽게 발급 받으 실 수 있습니다.

  1.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접속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증명서 발급’을 클릭 합니다.
    보건증 발급

  2. 이용동의

    온라인 제증명 발급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에 체크를 합니다.
    보건증 발급

  3. 로그인하기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뒤 공동인증서, 아이핀 또는 핸드폰 본인확인 등의 절차를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4. 접수번호

    건강진단결과서의 접수번호를 클릭합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5. 신청하기

    제출용, 열람용, 확인용 중 선택하여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기재한 다음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6. 발급받기

    ‘발급받기’를 클릭하여 pdf파일로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건강진단결과서

  7. pdf 실행

    다운로드가 완료된 pdf 파일을 주민등록번호 앞6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건강진단결과서

  8. 결과확인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의 결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건강진단결과서

건강검진 항목

보건증 인터넷발급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까운 보건소나 해당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요, 보건소 방문 발급을 하던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하던 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가 나온 이후부터 발급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보건증 검사는 매우 간단한 검사로 그리 시간이 오래 걸리지는 않으며 검사 항목으로는 총 3가지 검사를 진행하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검사 항목내용
폐결핵 검사상의 탈의와 악세서리 등을 모두 탈거 한 뒤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것 입니다.
장티푸스 검사검사용 면봉을 2~4cm가량 항문에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것 입니다.
피부질환 검사전염성 피부질환이 있을 수 있어 담당의사가 육안으로 신체 일부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검사 항목이 많지 않고 검사 시간도 오래 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건증이 필요하신 분들은 부담없이 검사하시고 보건증을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또한, 보건증은 1년에 1회의 검사만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만약 보건증을 분실 하셨다면 공공보건포털을 통해서 검사를 받지 않고 재발급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 단 유효기간이 지난 뒤에는 다시 검사를 받으셔야 하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Q&A

보건증 발급 받으려고 하는데 혹시 항문 검사가 있나요?

보건증 검사 항목에 장티푸스 검사가 있습니다. 이 검사는 검사용 면봉을 항문에 삽입하는 검사입니다.

보건증 발급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보건증 발급 비용은 발급 수수료 3,000원 입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은 언제 부터 할 수 있나요?

보건소에서 검사 한 뒤 평균적으로 4~5일 정도가 지나면 인터넷으로 발급 하실 수 있습니다.

info@flybemagazi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