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인 점수로 서울이 1등”… 전세계 여행객이 서울 지하철에 반한 이유

전세계 여러 도시의 시민들이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지하철의 이용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며 인구 밀집도가 매우 높은 수도 서울에서는 시민들과 방문객들에게 없어선 안 될 소중한 공공시설입니다.

때때로 ‘지옥철’이라 불릴 정도로 혼잡하다는 인식도 있지만, 사실 서울의 지하철은 모든 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합니다.

영국 런던의 한 회사에서는 세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도시의 지하철 10개를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서울은 그 어느 도시의 지하철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서울지하철
출처: Essential living

먼저 좋은 지하철의 기준을 충족 할 만한 세부항목을 나눴으며, 이 중 첫 번째 기준은 접근성으로, 지하철 탑승을 위해 필연적으로 이용해야 할 계단이 없는 경우를 확인했습니다.

두 번째 기준은 편의성이었는데, 긴 운행 시간과 무인 결제 시스템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했습니다. 세 번째 기준은 반려동물 친화성으로, 동물과 함께 이용 가능한 경우를 선정했습니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기준은 각각 와이파이와 화장실, 에어컨의 부재 여부를 평가했습니다. 여섯 번째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단방향과 월정액 요금을 고려했습니다.

일곱 번째 기준은 인프라 노화도를 검토했으며, 마지막 여덟 번째 기준은 연간 수송 승객 수를 고려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10개 도시의 지하철 순위를 결정했습니다.

10위는 프랑스 파리, 9위는 베이징, 8위는 모스크바, 7위는 뉴욕, 6위는 마드리드, 5위는 런던이며, 4위는 멕시코시티, 3위는 도쿄, 2위는 상하이입니다. 이 가운데 1위는 우리나라의 서울입니다.

서울지하철

이번에 살펴볼 지표는 탑승객의 숫자입니다. 그 결과, 중국의 지하철이 우세를 보이며 1위는 연간 383억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베이징 지하철이, 2위는 371억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상하이 지하철이 차지합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서울 지하철은 4위에 올랐습니다.

서울 지하철은 접근성 측면에서도 높은 성적을 얻었습니다. 특히, 상하이와 함께 모든 역이 계단 없이도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시설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쿄는 역 중 51%에만, 파리는 5%에만 해당 시설을 설치해두었습니다.

우리나라 지하철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부분 중 하나는 반려동물 친화성입니다. 반려동물이 허용되며 작은 동물의 경우 캐리어 안에 탑승할 수 있지만, 목줄만 한 개를 착용한 개는 탑승할 수 없고, 입마개를 착용해야 합니다.

런던 지하철은 반려동물 친화성을 최우수로 평가받았으며, 반면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 지하철은 반려동물의 탑승이 전면 금지되어 있는 점이 눈에 띕니다.

운행 시간 또한 높은 점수를 받지는 못했습니다. 뉴욕 지하철은 24시간 운영되어 1위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어 20시간 30분 동안 운행되는 마드리드 지하철과 서울 지하철이 따랐습니다. 상대적으로 운행 시간이 짧은 베이징은 18시간, 상하이는 17시간 운영하며 이 부분에서는 꼴찌를 차지했습니다.

info@flybemagazine.com